미국 육군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육군부(Department of the Army)는 미국 국방부 산하의 군 부서로, 육군과 공군을 담당하던 옛 육군성(Department of War)에서 분리되어 1947년 9월 18일 설립되었다. 육군 장관이 이끌며,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은 민간인이 책임을 맡는다. 육군성은 본부(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HQDA)와 현장 조직으로 나뉘며, 육군 장관실과 육군참모부로 구성된 본부는 지시 및 감독 기능을 수행한다. 예하에 여러 사령부, 직할 부대 및 작전 부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9년 설립 - 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는 1789년에 설립되어 외교 정책을 담당하며, 현재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며, 조약 협상 및 국제기구 활동 등을 수행한다. - 1789년 설립 - 미국 재무부
미국 재무부는 1789년 설립되어 재정 및 통화 정책 수립, 화폐 발행, 세금 징수, 국채 관리, 금융기관 감독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미국의 연방 행정부이며, 현재 재무장관은 재닛 옐런이다. - 미국 육군 -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는 1901년 설립된 미국 육군의 고급 군사 교육 기관으로, 전략적 수준의 지도자 양성과 지상군 활용 지식 발전을 목표로 하며, 졸업생에게는 전략 연구 석사 학위가 수여된다. - 미국 육군 - 수훈십자장 (미국)
수훈십자장은 미국 육군에서 두 번째로 높은 무공 훈장으로, 특별한 영웅적 행위를 한 사람에게 수여되며, 떡갈나무 잎으로 추가 수여를 표시하기도 한다. - 미국 국방부 - 펜타곤
펜타곤은 미국 국방부의 본부 건물로, 세계 최대의 오각형 건물이며 9·11 테러 당시 아메리칸 항공 77편이 충돌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펜타곤 추모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미국 국방부 - 미사일 방어국
미사일 방어국(MDA)은 미국 본토와 해외 미군, 동맹국을 탄도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다층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개발 및 배치하는 미국 국방부 산하 기관으로, 2002년 재편 이후 미국 본토 방어에 중점을 두고 지상 기반 중간 단계 방어(GMD) 시스템, 이지스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고고도 지역 방어(THAAD) 시스템 등을 개발, 배치하며 국제 전략을 통해 전 세계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 운용을 지원한다.
미국 육군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기관명 | 미국 육군부 |
영어 기관명 | Department of the Army |
설립일 | 1775년 7월 14일 |
전신 | 미국 전쟁부 |
본부 | 미국버지니아주알링턴 카운티펜타곤 |
예산 | 1,747억 달러 (2022 회계연도) |
상위 기관 | 미국 국방부 |
웹사이트 | army.mil |
주요 인물 | |
육군 장관 | 크리스틴 워머스 |
육군 차관 | 게이브 카마릴로 |
법률 정보 |
2. 역사
미국 육군부의 전신인 옛 육군성(, "군사성", "전쟁성"이라고도 함)은 1789년부터 1947년 9월 18일까지 육군과 공군을 담당하는 미합중국의 행정기관이었다.
1947년 9월 18일, 국가군정성() 설립으로 옛 육군성은 현재의 육군성()과 공군성()으로 분리되었다. 동시에 육군항공대는 미국 공군으로 독립하였다. 국가군정성은 1949년 8월 10일 국방부()로 개칭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역사
미국 육군부의 전신인 옛 육군성()은 1789년부터 1947년 9월 18일까지 육군과 공군을 담당하는 미합중국의 행정기관이었다.1947년 9월 18일에 국가군정성()이 설립됨에 따라, 옛 육군성은 현재의 육군성()과 공군성()으로 분할되어 그 산하에 들어갔다. 동시에 육군항공대는 새로 설립된 공군성 아래 미국 공군이 되었다.
국가군정성은 1949년 8월 10일에 국방부()로 개명되었다.
2. 2. 20세기 주요 분쟁 참전
1947년 9월 18일, 국가군정성() 설립으로 기존 육군성은 현재의 육군성()과 공군성()으로 분리되었다. 동시에 육군항공대는 미국 공군으로 독립하였다. 국가군정성은 1949년 8월 10일 국방부()로 개칭되었다.[1]2. 3. 21세기 분쟁과 현재
1947년 9월 18일에 국가군정성()이 설립됨에 따라, 옛 육군성은 현재의 육군성()과 공군성()으로 분할되어 그 산하에 들어갔다. 동시에 육군항공대는 새로 설립된 공군성 아래 미국 공군이 되었다.국가군정성은 1949년 8월 10일에 국방부()로 개명되었다.
3. 구조
미 육군성(Department of the Army)은 미국 국방부 산하의 군 부서이다. 육군성은 육군 장관이 이끌며, 법률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하고 미국 상원의 인준을 받은 민간인이어야 한다. 육군 장관은 국방 장관의 권한, 지시 및 통제를 받으며 육군성의 모든 업무를 수행할 책임과 권한을 가진다. 육군성은 정부 소재지에 있는 본부와 현장 조직으로 나뉜다.
국방 장관의 지시에 따라 육군 장관은 미국법전 제10편 제7013조[1]에 열거된 임무(조직, 훈련 및 장비)를 수행하는 부대를 제외하고, 또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육군 부대를 전투 사령부 사령관의 작전 지휘하에 배속한다. 미국법전 제10편 제162조[2]에 따라 전투 사령부로의 및 전투 사령부로부터의 부대 이동을 승인할 권한은 국방 장관(그리고 대통령)만 가지고 있다.
미 육군본부(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는 부서의 본사로서 지시 및 감독 기능을 수행하며, 민간인 중심의 육군 장관실과 군인 중심의 육군참모부로 구성된다. 장관실(Office of the Secretary)은 육군장관이 이끌며, 육군 차관과 육군장관 보좌관이 보좌한다. 미 육군 참모부(Army Staff)는 미 육군 참모총장이 이끌며, 그는 육군 내 최고 계급의 장성(4성 장군)이자 합동참모본부의 육군 대표이다.
§ HQDA
육군 사령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
앤드류 P. 포파스 대장 | 포트 리버티, 노스캐롤라이나주 | |
제임스 E. 레이니 대장 | 텍사스주 오스틴 | |
찰스 R. 해밀턴 대장 (정직으로 인한 공석) | 레드스톤 아스널, 앨라배마주 | |
게리 브리토 대장 | 포트 유스티스, 버지니아주 | |
육군 지원 작전 사령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크리스토퍼 T. 도너휴 대장 | 루시우스 D. 클레이 카저네, 비스바덴, 독일 | |
패트릭 D. 프랭크 중장[13] | 쇼 공군기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
앨런 M. 페핀 중장 | 포트 샘 휴스턴, 텍사스주 | |
로널드 P. 클라크 대장 | 포트 셰프터, 하와이주 | |
필립 J. 라이언 소장 | 포트 샘 휴스턴, 텍사스주 | |
랜스 G. 커티스 소장 | 스콧 공군기지, 일리노이주 | |
![]() | 마리아 L. 배럿 중장 | 포트 아이젠하워, 조지아주 |
션 게이니 중장 | 레드스톤 아스널, 앨라배마주 | |
조나단 P. 브라가 중장 | 포트 리버티, 노스캐롤라이나주 | |
작전 부대 본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크리스토퍼 C. 라네브 중장 | 험프리스 기지, 대한민국 | |
직할 부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 | 캐서린 켈리[16] | 버지니아주 알링턴 |
로널드 R. 리차드슨 주니어[17]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
![]() | 캐롤 버튼[19]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 | 윌리엄 H. 그레이엄 주니어 중장[20] | 워싱턴 D.C. |
![]() | 그레고리 D. 포드 국장[21][22] | 버지니아주 콴티코 |
![]() | 토마스 R. 드류 소장[23] | 포트 녹스, 켄터키주 |
미셸 H. 브레덴캠프 소장[24]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
![]() | 메리 K. 이사기레 중장 | 조인트 베이스 샌 안토니오, 텍사스주 |
트레버 J. 브레덴캠프 소장 | 포트 레슬리 J. 맥네어, 워싱턴 D.C. | |
![]() | 제임스 J. 갤리번 소장[25] | 메릴랜드주 에버딘 시험장 |
![]() | 데이비드 C. 힐 소장 | 펜실베이니아주 칼라일 |
![]() | 스티븐 W. 길랜드 중장 | 뉴욕주 웨스트포인트 |
3. 1. 미국 육군성 본부 (HQDA)
미국 육군성 본부(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HQDA)는 미국 육군성의 본사로서 지시 및 감독 기능을 수행한다. HQDA는 크게 (Office of the Secretary of the Army) (주로 민간인)과 육군참모부 (주로 군인)의 두 참모부로 나뉜다.[3][4][5]장관실과 육군참모부는 민간인과 군 장교가 유사한 프로그램 분야를 감독하도록 비슷한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6][7][8]
민간 (육군 사무국) | 군 (육군 참모부) |
---|---|
미 육군 인력 및 예비군 담당 차관보 | 인사참모차장(G1) 작전계획훈련참모차장(G3/5/7) |
미 육군 시설, 에너지 및 환경 담당 차관보 | 시설참모차장(G9) |
미 육군 토목 담당 차관보 | 미 육군 공병대 사령관 |
미 육군 획득, 물류 및 기술 담당 차관보 | 물류참모차장(G4) |
미 육군 재정관리 및 감찰 담당 차관보 | 프로그램 참모차장(G8-재정관리) |
미 육군 법률고문 | 정보참모차장(G2) |
미 육군 최고 정보 책임자(CIO)/G-6 | 통신/IT 참모차장(G6) |
각 조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하라.
- 육군장관실
- 육군참모부
3. 1. 1. 육군장관실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영어
육군장관실(Office of the Secretary of the Army)은 주로 민간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군장관이 이끌고 육군차관과 육군장관 보좌관실(Office of the Administrative Assistant to the Secretary of the Army)의 장관 보좌관이 보좌한다.[3] 장관 보좌관은 부서의 고위 공무원(senior civilian career official)이다. '육군 사무국'(Army Secretariat)으로도 알려진 육군장관실은 여러 부서로 나뉘어 각각 기능적인 책임을 지니며, 그중 가장 중요한 여섯 개 부서는 5명의 육군 차관보(assistant secretaries of the Army) 중 한 명 또는 육군 법률고문(general counsel of the Army)이 이끈다. 이들은 모두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은 민간인이다.
장관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육군장관
- * 육군차관
- * 육군 민간공사차관 / 공병감
- * 육군 취득물자기술차관 / G4 물류참모차장
- * 육군 재무관리감사차장 / G8 재무관리참모차장
- * 육군 시설에너지환경차관 / 시설관리참모차장
- * 육군 전력예비업무차관 / G1 인사참모차장 / G3/5/7 작전참모차장
- * 육군 행정차관
- * 육군 법무관 / G2 첩보참모차장
민간 (육군 사무국) |
---|
미 육군 인력 및 예비군 담당 차관보 |
미 육군 시설, 에너지 및 환경 담당 차관보 |
미 육군 토목 담당 차관보 |
미 육군 획득, 물류 및 기술 담당 차관보 |
미 육군 재정관리 및 감찰 담당 차관보 |
미 육군 법률고문 |
미 육군 최고 정보 책임자(CIO)/G-6 |
3. 1. 2. 육군참모부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영어
미 육군본부(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는 부서의 본사로서 지시 및 감독 기능을 수행하며, 육군참모부(미국법전 제10편 제7031조[4] 및 미국법전 제10편 제7032조[5])와 (Office of the Secretary of the Army)(미국법전 제10편 제7014조[3])로 구성된다. 육군참모부는 주로 군인으로, 장관실은 주로 민간인으로 구성되어있다. 장관실과 육군참모부는 민간인과 군 장교가 유사한 프로그램 분야를 감독하는 유사한 라인을 따라 조직되어 있다.
민간 (육군 사무국) | 군 (육군 참모부) |
---|---|
미 육군 인력 및 예비군 담당 차관보 | 인사참모차장(G1) 작전계획훈련참모차장(G3/5/7) |
미 육군 시설, 에너지 및 환경 담당 차관보 | 시설참모차장(G9) |
미 육군 토목 담당 차관보 | 미 육군 공병대 사령관 |
미 육군 획득, 물류 및 기술 담당 차관보 | 물류참모차장(G4) |
미 육군 재정관리 및 감찰 담당 차관보 | 프로그램 참모차장(G8-재정관리) |
미 육군 법률고문 | 정보참모차장(G2) |
미 육군 최고 정보 책임자(CIO)/G-6 | 통신/IT 참모차장(G6) |
미 육군 참모부(Army Staff)는 미 육군 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이 이끌며, 그는 육군 내 최고 계급의 장성(4성 장군)이자 합동참모본부(Joint Chiefs of Staff)의 육군 대표이다. 참모총장은 미 육군 부참모총장(Vice 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의 지원을 받는데, 부참모총장 또한 4성 장군이며 육군 내 두 번째로 높은 계급의 장교이다. 미 육군 참모부는 여러 국(directorate)으로 나뉘며, 각 국은 중장(Lieutenant General (United States), 3성 장군)이 이끈다. 각 국은 부참모총장(DCS) G-1(인사), G-2(정보), G-3(작전), G-4(군수),[6] G-5(계획), G-6(네트워크), G-7(훈련), G-8(재정), G-9(시설)을 각각 담당한다.[9][10] DCS G-3/5/7은 작전, 계획, 훈련을 담당하는 단일 부서이다.
미 육군 참모부 내 핵심 인물로는 3성 장군인 미 육군 참모부 국장(director of the Army Staff)이 있다. 국장은 육군 장관(secretary of the Army)의 목표와 우선 순위를 충족하도록 육군 장관실(Office of the Secretary)과 육군 참모부의 업무를 통합 및 동기화하는 책임이 있다. 미 육군 참모부의 다른 핵심 인물로는 육군 최고 선임 하사관(Sergeant Major of the Army), 육군 참모부 최고 원사(Army Staff Senior Warrant Officer), 육군 최고 준위(Chief Warrant Officer of the Army), 육군 법무관(Judge Advocate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Army), 육군 예비군 사령관(Chief of the United States Army Reserve), 육군 군사경찰 총감(United States Army Provost Marshal General), 육군 의무총감(United States Army Surgeon General)이 있다. 국방군사령부(National Guard Bureau) 사령관은 이전에는 육군 참모부의 일부로 간주되었지만, 4성 장군으로 승진하여 합동참모본부의 일원이 되었다. 육군 주방위군 사령관과 공군 주방위군 사령관(둘 다 3성 장군)은 전략 및 정책에 대해 국방군사령부 사령관에게 보고하지만, 서로 다른 법적 권한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의 군으로부터 자금과 서비스별 지침을 받는다.[11]
3. 2. 육군사령부
육군 사령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
미 육군 병력 사령부 (FORSCOM) | 앤드류 P. 포파스 대장 | 포트 리버티, 노스캐롤라이나주 |
미 육군 미래 사령부 (AFC) | 제임스 E. 레이니 대장 | 텍사스주 오스틴 |
미 육군 물자 사령부 (AMC) | 찰스 R. 해밀턴 대장 (정직으로 인한 공석) | 레드스톤 아스널, 앨라배마주 |
미 육군 훈련 및 교리 사령부 (TRADOC) | 게리 브리토 대장 | 포트 유스티스, 버지니아주 |
육군 지원 작전 사령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미 육군 유럽 및 아프리카 사령부[12] | 크리스토퍼 T. 도너휴 대장 | 루시우스 D. 클레이 카저네, 비스바덴, 독일 |
미 육군 중부 사령부 (ARCENT)/제3 육군 | 패트릭 D. 프랭크 중장[13] | 쇼 공군기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미 육군 북부 사령부 (ARNORTH)/제5 육군 | 앨런 M. 페핀 중장 | 포트 샘 휴스턴, 텍사스주 |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USARPAC) | 로널드 P. 클라크 대장 | 포트 셰프터, 하와이주 |
미 육군 남부 사령부 (ARSOUTH)/제6 육군 | 필립 J. 라이언 소장 | 포트 샘 휴스턴, 텍사스주 |
육군 지상 배치 및 배급 사령부 (SDDC) | 랜스 G. 커티스 소장 | 스콧 공군기지, 일리노이주 |
미 육군 사이버 사령부 (ARCYBER) | 마리아 L. 배럿 중장 | 포트 아이젠하워, 조지아주 |
미 육군 우주 및 미사일 방어 사령부/미 육군 전략 사령부 (USASMDC/ARSTRAT) | 션 게이니 중장 | 레드스톤 아스널, 앨라배마주 |
미 육군 특수작전 사령부 (USASOC) | 조나단 P. 브라가 중장 | 포트 리버티, 노스캐롤라이나주 |
작전 부대 본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제8 육군 (EUSA)[14] | 크리스토퍼 C. 라네브 중장 | 험프리스 기지, 대한민국 |
직할 부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알링턴 국립묘지 및 미 육군 및 공군 장병 묘지[15] | 캐서린 켈리[16] | 버지니아주 알링턴 |
미 육군 획득 지원 센터 (USAASC)[17] | 로널드 R. 리차드슨 주니어[17]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미 육군 민간 인사 기관 (CHRA)[18] | 캐롤 버튼[19]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미 육군 공병대 (USACE) | 윌리엄 H. 그레이엄 주니어 중장[20] | 워싱턴 D.C. |
미 육군 형사 수사국 (USACID) | 그레고리 D. 포드 국장[21][22] | 버지니아주 콴티코 |
미 육군 인사 사령부 (HRC) | 토마스 R. 드류 소장[23] | 포트 녹스, 켄터키주 |
미 육군 정보 및 보안 사령부 (INSCOM) | 미셸 H. 브레덴캠프 소장[24]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미 육군 의무 사령부 (MEDCOM) | 메리 K. 이사기레 중장 | 조인트 베이스 샌 안토니오, 텍사스주 |
미 육군 워싱턴 군관구 (MDW) | 트레버 J. 브레덴캠프 소장 | 포트 레슬리 J. 맥네어, 워싱턴 D.C. |
미 육군 시험 및 평가 사령부 (ATEC) | 제임스 J. 갤리번 소장[25] | 메릴랜드주 에버딘 시험장 |
미 육군 전쟁대학 (AWC) | 데이비드 C. 힐 소장 | 펜실베이니아주 칼라일 |
미 육군 사관학교 (USMA) | 스티븐 W. 길랜드 중장 | 뉴욕주 웨스트포인트 |
3. 3. 육군근무구사령부
육군 지원 작전 사령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
미 육군 유럽 및 아프리카 사령부[12] | 크리스토퍼 T. 도너휴(Christopher T. Donahue) 대장 | 루시우스 D. 클레이 카저네, 비스바덴, 독일 |
미 육군 중부 사령부 (ARCENT)/제3 육군 | 패트릭 D. 프랭크(Patrick D. Frank) 중장[13] | 쇼 공군기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미 육군 북부 사령부 (ARNORTH)/제5 육군 | 앨런 M. 페핀(Allan M. Pepin) 중장 | 포트 샘 휴스턴, 텍사스주 |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USARPAC) | 로널드 P. 클라크(Ronald P. Clark) 대장 | 포트 셰프터, 하와이주 |
미 육군 남부 사령부 (ARSOUTH)/제6 육군 | 필립 J. 라이언(Philip J. Ryan) 소장 | 포트 샘 휴스턴, 텍사스주 |
육군 지상 배치 및 배급 사령부 (SDDC) | 랜스 G. 커티스(Lance G. Curtis) 소장 | 스콧 공군기지, 일리노이주 |
미 육군 사이버 사령부 (ARCYBER) | 마리아 L. 배럿(Maria L. Barrett) 중장 | 포트 아이젠하워, 조지아주 |
미 육군 우주 및 미사일 방어 사령부/미 육군 전략 사령부 (USASMDC/ARSTRAT) | 션 게이니(Sean Gainey) 중장 | 레드스톤 아스널, 앨라배마주 |
미 육군 특수작전 사령부 (USASOC) | 조나단 P. 브라가(Jonathan P. Braga) 중장 | 포트 리버티, 노스캐롤라이나주 |
3. 4. 작전전력본부
3. 5. 직접보고부대
직할 부대 | 현 사령관 | 본부 위치 |
---|---|---|
알링턴 국립묘지 및 미 육군 및 공군 장병 묘지[15] | 캐서린 켈리[16] | 버지니아주 알링턴 |
미 육군 획득 지원 센터 (USAASC) | 로널드 R. 리차드슨 주니어[17]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미 육군 민간 인사 기관 (CHRA)[18] | 캐롤 버튼[19]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미 육군 공병대 (USACE) | 윌리엄 H. 그레이엄 주니어 중장[20] | 워싱턴 D.C. |
미 육군 형사 수사국 (USACID) | 그레고리 D. 포드 국장[21][22] | 버지니아주 콴티코 |
미 육군 인사 사령부 (HRC) | 토마스 R. 드류 소장[23] | 포트 녹스, 켄터키주 |
미 육군 정보 및 보안 사령부 (INSCOM) | 미셸 H. 브레덴캠프 소장[24]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미 육군 의무 사령부 (MEDCOM) | 메리 K. 이사기레 중장 | 조인트 베이스 샌 안토니오, 텍사스주 |
미 육군 워싱턴 군관구 (MDW) | 트레버 J. 브레덴캠프 소장 | 포트 레슬리 J. 맥네어, 워싱턴 D.C. |
미 육군 시험 및 평가 사령부 (ATEC) | 제임스 J. 갤리번 소장[25] | 메릴랜드주 에버딘 시험장 |
미 육군 전쟁대학 (AWC) | 데이비드 C. 힐 소장 | 펜실베이니아주 칼라일 |
미 육군 사관학교 (USMA) | 스티븐 W. 길랜드 중장 | 뉴욕주 웨스트포인트 |
4. 한반도와의 관계
4. 1. 주한미군
제8군은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에 주둔하고 있다.참조
[1]
법률
United States Code 10, Section 7013
[2]
법률
United States Code 10, Section 162
[3]
법률
United States Code 10, Section 7014
[4]
법률
United States Code 10, Section 7031
[5]
법률
United States Code 10, Section 7032
[6]
웹사이트
AR 5-22 — The Army Force Modernization Proponent System
https://armypubs.arm[...]
[7]
간행물
SD 12 STRATEGY NOTE 2022-04
https://armypubs.arm[...]
G-3/5/7 (LTG James E. Rainey)
2022-04-01
[8]
서적
How the Army Runs: a senior leader reference handbook
https://apps.dtic.mi[...]
US Army War College (USAWC) School of Strategic Landpower
2019-2020
[9]
웹사이트
NATO SHAPE structure
http://www.nato.int/[...]
2010-01-09
[10]
보고서
Description of Army Staff Functions: Targets for Planning Aids
http://apps.dtic.mil[...]
1988-07
[11]
법률
TITLE 10 AND TITLE 32, UNITED STATES CODE
https://www.govinfo.[...]
1956
[12]
군령
Army General Order NO. 2020–31: Redesignation of United States Army Europe as United States Army Europe and Africa AND Redesignation of United States Army Africa/Southern European Task Force as United States Army Southern European Task Force, Africa
https://armypubs.arm[...]
2020-11-13
[13]
웹사이트
Commanding General - Biography
https://www.usarcent[...]
[14]
군령
General Orders No. 2012-02: Redesignation and Assignment of Eighth Army as a Subordinate Command of The United States Army Pacific
http://www.apd.army.[...]
Department of the Army
2016-03-04
[15]
군령
Designation of Arlington National Cemetery and Soldiers’ and Airmen’s Home National Cemetery as a Direct Reporting Unit
http://www.apd.army.[...]
Department of the Army
2014-11-21
[16]
뉴스
Superintendent of Arlington National Cemetery: Who Is Kate Kelley?
http://www.allgov.co[...]
AllGov
2017-05-07
[17]
웹사이트
Leaders
https://asc.army.mil[...]
United States Army Acquisition Support Center
[18]
군령
DAGO 2017-03, DESIGN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CIVILIAN HUMAN RESOURCES AGENCY AND ITS SUBORDINATE ELEMENTS AS DIRECT REPORTING UNIT
http://www.apd.army.[...]
2017-01-04
[19]
웹사이트
Welcome to CHRA - About Us
https://portal.chra.[...]
chra.army.mil
[20]
웹사이트
Lieutenant General Scott A. Spellmon
https://www.usace.ar[...]
[21]
뉴스
Civilian boss takes charge of Army CID for first time
https://www.armytime[...]
2021-09-17
[22]
웹사이트
CID Command Group
https://www.cid.army[...]
[23]
웹사이트
HRC Leadership
https://www.hrc.army[...]
hrc.army.mil
[24]
웹사이트
U.S. Army Intelligence and Security Command | INSCOM
https://www.army.mil[...]
[25]
뉴스
Change of command ceremony marks change in ATEC leadership
https://www.army.mil[...]
2020-07-21
[26]
웹사이트
Organization
http://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